Skip to main content

2023년 12월 국세청과 경제사회정의연구원 자료에 따르면, 대한민국의 소득 계층 간 격차가 예상보다 훨씬 크다는 사실이 확인됐다. 특히 상위 0.1%와 상위 20% 사이의 소득 차이는 극심한 수준이다. 그렇다면 각 계층별 연소득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?

대한민국 소득 계층별 연소득 현황

서울씨가 소득 계층을 세분화해 분석한 결과, 근로자와 사업자의 소득 분포는 다음과 같다.

소득 계층근로자 연소득사업자 연소득
상위 0.1%9억 5,615만원33억 3,317만원
상위 0.2%3억 9,479만원9억 4,432만원
상위 0.3%3억 1,047만원6억 8,104만원
상위 0.4%2억 6,809만원5억 5,050만원
상위 0.5%2억 4,138만원4억 7,143만원
상위 1%1억 8,270만원2억 9,328만원
상위 5%1억 828만원1억 850만원
상위 10%8,328만원6,516만원
상위 20%5,932만원3,602만원

계층 간 소득 격차와 패턴 분석

1. 슈퍼리치와 중산층 간 극심한 격차

상위 0.1% 근로자는 상위 20% 근로자보다 16배 높은 연소득을 기록했다. 사업자의 경우, 그 격차는 무려 92배에 달한다. 이처럼 극소수 계층에 부가 집중되는 경향이 뚜렷하다.

2. 사업소득과 근로소득의 차이

상위 0.1%부터 5% 구간에서는 사업소득자가 근로소득자보다 높은 소득을 올린다. 그러나 상위 10% 이하에서는 근로소득이 더 높은 경향을 보인다. 이는 소규모 자영업자들의 현실적인 어려움을 반영하는 지표다.

3. 상위 0.1%와 0.2% 간 격차

상위 0.1%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0.2% 대비 근로자는 2.4배, 사업자는 3.5배 더 높은 소득이 필요하다. 이는 슈퍼리치 내에서도 소득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.

소득 계층별 월 소득 환산

월 소득 기준으로 환산하면 각 계층별 소득 수준이 더욱 직관적으로 드러난다.

  • 상위 0.1%: 근로자 월 7,968만원, 사업자 월 2억 7,776만원
  • 상위 1%: 근로자 월 1,523만원, 사업자 월 2,444만원
  • 상위 10%: 근로자 월 694만원, 사업자 월 543만원
  • 상위 20%: 근로자 월 494만원, 사업자 월 300만원

한국 소득 구조가 시사하는 점

대한민국의 소득 구조를 보면, 상위 0.1%에 부가 집중되어 있으며, 사업소득자의 소득 격차가 근로소득자보다 훨씬 크다는 점이 두드러진다. 이는 창업과 사업이 높은 수익을 창출할 가능성이 크지만, 동시에 실패 리스크도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.

또한 상위 10% 미만 계층에서는 근로소득이 사업소득보다 높은 경우가 많다. 이는 안정적인 직업이 재정적 측면에서 여전히 중요한 선택지임을 시사한다.

소득 향상을 위한 전략

개인이 소득을 높이려면 단순히 더 많은 시간을 일하는 것보다는 본인의 경제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역량 개발과 투자가 필수적이다. 특히 상위 1% 이상으로 진입하려면 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며, 창업·투자·고소득 전문직으로의 경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.

이러한 소득 분석 데이터는 재정 목표를 설정하고 커리어를 계획하는 데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. 자신의 현재 소득 계층을 파악하고, 어디를 목표로 할지 설정하는 것이 자산 형성의 첫걸음이다. 보다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면, 장기적인 소득 상승 전략을 세워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.

출처 : 계층별, 지역별 소득현황 및 정책시사점(민주연구원), 2013.12월